본문 시작
식품위생안전관리
사업목표
- 식품의 안전을 위해 유해물질 저감화 기술 개발 및 식중독 원천차단 방안 등 근원적 예방 연구를 통한 식품안전 관리체계 마련
주요내용
- 식품 등의 오염물질, 잔류물질 등의 모니터링/실태조사 및 안전성평가를 통한 식품안전 확보 연구
- 식품 등의 생산, 제조, 유통, 소비 전단계의 식품 위해요소에 대한 시험법 개발, 기준·규격 제․개정, 저감화 방안 연구
- 식중독 원인 미생물의 특성 연구, 식중독 원인체 검출 및 예방 기술 개발, 식중독 사고 대응 방안 원인 규명 연구
-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(NGS)장비를 이용한 전장유전체(WGS) 기반의 식중독균 정보 확보 및 프로그램 개발(국정과제)
- 편리성·기능성을 중시하는 식생활의 변화로 간편 식품 증가에 따라 식품포장 등에서 비의도적 혹은 사용시 변형을 통해 생성되는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
- 「위생용품 관리법」의 제정·시행에 따라 기존 유형별로 별도고시로 관리되고 있던 위생용품의 기준 및 규격 통합과 최신 동향을 반영한 시험법 개발
주요 실적 및 성과
- 식품 안전관리 정책의 과학적 근거 제시
- 과학적 위해평가를 통한 기준·규격 제·개정안 마련
- ※ 식품 기준․규격 채택 건수 : (’15) 123건 → (’16) 72건 → (’17) 72건
- 식품 등 안전관리를 위한 유해물질 등에 대한 시험법 개발
- 잔류물질, 오염물질, 식품첨가물 등 기준․규격 적용을 위한 시험법
- ※ ‘15~’17년 물질별 시험법 개발 건수(누계) : 잔류물질(374건), 식품첨가물(83건), 오염물질(66건), 기구용기포장 이행물질(42건), 미생물(22건) 등
- 신속·정확한 시험법 개발로 일선 시험검사기관의 업무 편의 제공 및 시험기간 단축
- 잔류물질, 오염물질, 식품첨가물 등 기준․규격 적용을 위한 시험법
- ※ 잔류물질 동시다성분 시험법, 신속 식중독 시험법 개발, 곰팡이독소 분석 시험법 등
추진계획
- 식품안전관리의 과학적 근거마련․제공을 위한 기준․규격 및 시험법 확립 연구사업 지속 추진
- 미래대응 미생물 안전관리 체계 마련 연구(`19~`22) 및 위생용품 안전관리 연구(‘18~’22) 지속 추진
담당부서 및 연락처
- 식품위해평가과 (043-719-4505 , 450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