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진배경
- 기능성원료 과학적 심사를 통한 건강기능식품 신뢰성 확보
- 건강기능식품 산업체 기술지원 및 소통 활성화
주요내용
-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인정·심사
- 객관적이고 일관된 심사를 위한 우수심사기준(GRP)마련
- 심사자 역량강화를 위한 '건강기능식품 평가기술연구회' 운영
- 심사 관련 영업자 기술 지원
- 건강기능식품 인정 관련 '기능성 평가 가이드' 지속 개발
- 기능성 원료 인정 관련 사전 상담을 위한 '모둠토의제' 실시
- 영업자용 '제출자료 작성 가이드' 등 정보 제공 자료 배포
- 건강기능식품 심사기준 및 기준규격 관련 설명회 개최
기대효과
-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활성화를 통한 국내 건강기능식품산업 경쟁력 제고
- 안전성·기능성이 확보된 건강기능식품 유통으로 소비자 선택권 확대
- 적극적 소통을 통한 건강기능식품 산업 활성화 지원